본문 바로가기

정책|지원

[정책/지원]2025년 하반기부터 만 5세 무상교육·보육 시행

정부는 학부모의 교육·보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유아기 무상교육·보육을 본격 실현하기 위해 2025년 7월부터 만 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비·보육료 추가 지원을 시행한다. 이번 조치는 전국적으로 적용되며, 학부모의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통해 자동으로 반영된다.

1. 정책 개요

  • 시행 시기: 2025년 7월부터
  • 대상 연령: 만 5세 아동 약 27만 8천 명
  • 추진 목적: 학부모의 양육 부담 경감 및 단계적 무상교육·보육 실현

2. 기관별 지원 내용

구분 기존 지원 변경 후 지원 경감액
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비 5만 원 7만 원 지원 월 2만 원
사립유치원 정부·교육청 지원 44만 8천 원 표준유아교육비 55만 7천 원 기준 → 차액 지원 월 11만 원
어린이집 표준보육비용(52만 2천 원) 지원 기타 필요경비 평균 7만 원 추가 지원 월 7만 원

기관 유형에 따라 경감액은 다르나, 모든 아동이 일정 수준의 지원 혜택을 받게 된다.

3. 지역 적용 범위 및 신청 절차

  • 적용 범위: 서울, 경기 등 지역에 관계없이 전국 모든 어린이집 및 유치원
  • 신청 절차: 학부모의 별도 신청은 필요하지 않으며, 기관을 통해 자동 반영
  • 정산 방식: 이미 납부한 금액이 있을 경우 기관에서 환불하거나 차기 납부금에서 차감

4. 단계적 확대 계획

  • 2025년: 만 5세 대상 우선 시행
  • 2026년: 만 4세, 5세 확대 적용
  • 2027년: 만 3세~5세 전면 무상교육·보육 실현

5. 기대 효과

본 정책 시행으로 학부모는 최소 월 2만 원에서 최대 월 11만 원까지 경비가 경감될 전망이다. 또한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어 지역 간 차별 없이 모든 아동이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, 맞벌이·한부모·조부모 양육 가정 등 다양한 가정 형태의 실질적 부담 완화가 기대된다.

아울러,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만 3세 아동까지 확대함으로써, 유아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의 공적 책임이 강화되고, 유아기 무상교육·보육이 체계적으로 정착될 것으로 전망된다.

정책/지원-보육비

결론

정부는 이번 5세 무상교육·보육 정책을 통해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, 유아기 교육·보육의 공공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. 단계적 확대를 거쳐 2027년에는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무상교육·보육이 전면적으로 실현될 것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