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판적사고력 썸네일형 리스트형 [문해력 향상] "정보의 바다에서 판단하기" – 사실, 관점, 해석, 비판 ① 사실(事實) [명사][정의]실제로 있었거나 있는 일. 주관이 개입되지 않은 객관적 진술[예시]“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다.”는 사실이다.사실은 확인 가능한 증거에 기반을 둬야 한다.[활용 팁]주장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정보를 분석할 때는 ‘이게 사실인가?’를 먼저 확인해야 함② 관점(觀點) [명사][정의]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는 태도나 시각[예시]같은 뉴스를 보고도 서로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.관점을 바꾸면 새로운 해결책이 보이기도 한다.[활용 팁]‘누구의 관점인가’를 따져보는 습관은 비판적 사고의 시작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면 편향된 판단을 피할 수 있음③ 해석(解釋) [명사][정의]사실이나 현상의 의미를 풀어서 설명하는 것[예시]“그의 침묵은 동의라는 해석이 가능하다.”통계 수치를 어떻게.. 더보기 [문해력 향상] "주장의 힘과 그 타당성" – 주장, 근거, 정당화, 반론 ① 주장(主張) [명사][정의]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분명하게 내세우는 것[예시]“나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은 제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.”논술에서는 주장 문장을 서론에 분명히 드러내야 한다.[활용 팁]주장은 ‘무엇을 말하고 싶은가’를 드러내는 핵심강한 주장은 논리적 근거와 함께 제시되어야 설득력을 가짐② 근거(根據) [명사][정의] 주장을 뒷받침하거나 설명해주는 이유나 자료[예시]“청소년의 수면 시간이 줄어든다”는 것은 스마트폰 제한의 근거가 될 수 있다.통계, 사례, 이론 등을 활용해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.[활용 팁]주장과 근거의 연결이 자연스러워야 글의 논리가 탄탄해짐여러 개의 근거를 조합하면 주장의 설득력이 올라감③ 정당화(正當化) [명사][정의]자신의 주장이나 행동이 옳다고 증명하거나 해명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