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 접속어(接續語) [명사]
[정의]
앞뒤 문장을 연결하면서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
[예시]
- “그러나”, “그리고”, “예를 들어” 등은 각각 전환, 병렬, 예시를 나타내는 접속어다.
- 접속어는 글의 흐름과 논리 관계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다.
[활용 팁]
- 접속어가 바뀌면 문장의 의미도 바뀐다
- 글 읽기 전에 접속어만 훑어봐도 전체 흐름을 예측할 수 있음
② 주어(主語) [명사]
[정의]
문장에서 행동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
[예시]
- “학생이 책을 읽는다”에서 ‘학생’이 주어이다.
- 주어가 누락되면 문장의 의미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.
[활용 팁]
- 주어가 명확해야 책임 소재나 관점이 드러난다
-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도 문장의 기본 구조
③ 서술어(敍述語) [명사]
[정의]
주어의 동작, 상태, 성질 등을 나타내는 말
[예시]
- “비가 온다”에서 ‘온다’가 서술어이다.
- 서술어가 있어야 문장이 완성된다.
[활용 팁]
- 서술어의 종류(행위/상태/존재 등)에 따라 문장의 유형이 달라진다
- 간결하고 정확한 서술어가 좋은 문장을 만든다
④ 맥락(脈絡) [명사]
[정의]
문장의 의미를 결정짓는 전후 관계나 상황적 흐름
[예시]
- “그래도 괜찮아”는 상황에 따라 위로, 반대, 허용 등 여러 의미로 읽힐 수 있다.
- 문맥을 놓치면 오해가 생길 수 있다.
[활용 팁]
- 독해력은 결국 ‘맥락을 읽는 능력’
- 전 문장과 후 문장을 연결해서 이해하려는 연습이 필요
'문해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문해력 향상] "비판적으로 읽는 힘" – 주장, 사실, 근거, 검증 (0) | 2025.08.09 |
---|---|
[문해력 향상] "태도와 뉘앙스를 읽는 힘" – 암시, 비유, 반어, 태도 (0) | 2025.08.08 |
[문해력 향상] "사고를 구조화하는 힘" – 서론, 전개, 전환, 결론 (0) | 2025.08.08 |
[문해력 향상] "갈등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힘" – 갈등, 조율, 타협, 공감 (0) | 2025.08.08 |
[문해력 향상] "정보의 바다에서 판단하기" – 사실, 관점, 해석, 비판 (0) | 2025.08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