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 주장(主張) [명사]
[정의]
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내세우는 것
[예시]
- “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은 제한해야 한다”는 주장은 근거가 있어야 설득력을 가진다.
- 주장은 독자의 관심과 반박 가능성을 전제한다.
[활용 팁]
- 주장 문장은 대부분 서론 또는 단락의 첫 문장에 등장
- ‘무엇을 말하고 싶은가’를 명확히 드러낸 문장을 찾는 것이 중요
② 사실(事實) [명사]
[정의]
주관이 개입되지 않은 객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
[예시]
- “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”는 사실이다.
-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지 못하면 정보의 왜곡에 빠질 수 있다.
[활용 팁]
- 수치, 통계, 역사적 사실 등은 사실 기반 근거
- 주장과 섞여 있는 경우가 많아 분리해서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
③ 근거(根據) [명사]
[정의]
주장을 뒷받침하는 자료나 이유
[예시]
- “스마트폰 사용이 수면 시간 감소를 유발한다”는 연구 결과는 근거가 될 수 있다.
- 근거가 부족한 주장은 감정적 주장에 그칠 수 있다.
[활용 팁]
- 근거는 논리, 자료, 사례, 통계, 인용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됨
- “왜 그렇게 생각하나요?”를 기준으로 역추적하면 근거를 찾을 수 있음
④ 검증(檢證) [명사]
[정의]
주장이나 정보가 옳은지를 따져 확인하는 일
[예시]
- 인터넷 정보는 반드시 출처를 확인하고 검증해야 한다.
- 과학적 주장이라 해도 검증되지 않으면 이론에 그친다.
[활용 팁]
- 출처 확인, 통계 오류 검토, 타당성 판단 등으로 검증 가능
- 뉴스 리터러시와 정보 판단 능력의 핵심
'문해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문해력 향상] "사고를 깊게 만드는 말들" – 개연성, 인과성, 당위, 객관 (0) | 2025.08.09 |
---|---|
[문해력 향상] "문장을 엮는 기술" – 접속어, 주어, 서술어, 맥락 (0) | 2025.08.09 |
[문해력 향상] "태도와 뉘앙스를 읽는 힘" – 암시, 비유, 반어, 태도 (0) | 2025.08.08 |
[문해력 향상] "사고를 구조화하는 힘" – 서론, 전개, 전환, 결론 (0) | 2025.08.08 |
[문해력 향상] "갈등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힘" – 갈등, 조율, 타협, 공감 (0) | 2025.08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