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카오톡은 이제 모든 세대가 사용하는 대표적인 소통 앱이 되었지만, 부모님들에겐 여전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는 앱이다.
특히 50~70대 어르신 세대는 문자나 전화에는 익숙해도, 카카오톡처럼 다양한 기능이 있는 앱은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다.
하지만 카카오톡은 한 번만 익혀두면 자녀, 손주, 친구들과의 연락은 물론 사진, 영상까지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도구다.
이 글에서는 카카오톡을 처음 시작하는 부모님께 꼭 필요한 기본 사용법을 단계별로 천천히, 쉬운 말로 설명해드린다.
휴대폰을 옆에 두고 하나씩 따라 하면서 읽으면 훨씬 효과적이다.
카카오톡 설치부터 로그인까지 – 시작이 반이다
먼저, 부모님이 스마트폰에 카카오톡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.
많은 분들이 처음에는 앱 설치 자체에서 어려움을 느끼시는데, 이 단계만 자녀가 도와드려도 이후는 비교적 수월하다.
- 앱 설치 확인하기
스마트폰 홈 화면에 노란색 말풍선 모양의 앱 아이콘이 있다면,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. 만약 없다면 Play 스토어(안드로이드)나 App Store(아이폰)에서 ‘카카오톡’을 검색해 설치한다. - 가입 또는 로그인 진행하기
처음 실행 시 ‘카카오계정’이 필요하다. 계정이 없으면 ‘새로 만들기’를 눌러 휴대폰 번호, 이름, 비밀번호, 인증번호를 입력한다.
로그인할 경우에는 카카오계정 이메일(ID)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 - 연락처 연동 허용하기
연락처 접근을 허용하면 스마트폰에 저장된 번호와 자동으로 친구가 연결된다. 부모님이 자녀의 번호를 저장해두셨다면 곧바로 카카오톡 친구 목록에 뜬다. - 내 프로필 사진 설정하기
프로필 설정 단계에서 자신의 사진이나 좋아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도와드리면 좋다. 이는 자녀나 친구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. - 자동 로그인을 설정해두기
카카오톡은 한 번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접속되지만, 비밀번호나 인증 오류가 자주 나는 경우에는 자동 로그인 설정을 켜두는 것이 좋다.
메시지 보내고 받기 – 대화의 기본
카카오톡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텍스트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다.
디지털 초보 부모님이 이 기능만 정확히 익히셔도 가족과의 소통이 훨씬 편리해진다.
- 친구 목록에서 상대를 선택하기
화면 아래 ‘친구’ 탭을 누르고, 대화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찾아서 클릭한다. 이미 대화했던 이력이 있다면 ‘채팅’ 탭에서 바로 접근해도 된다. -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
대화창 하단에 있는 입력창에 글자를 입력하고 ‘전송’ 버튼(화살표 모양)을 누르면 메시지가 전송된다.
키보드 사용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, 음성 입력 기능(마이크 아이콘)을 활용하면 편리하다. - 이모티콘 보내기
글자 옆에 웃는 얼굴 모양(이모지)을 누르면 다양한 이모티콘을 선택해 보낼 수 있다.
기본 이모티콘은 무료이며, 유료 이모티콘은 나중에 필요할 때만 구입해도 충분하다. - 사진 보내는 법
사진 아이콘(사진첩 모양)을 누르면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해서 보낼 수 있다.
“손주 사진 보내줘”라는 부탁도 이제 직접 할 수 있게 된다. - 상대방 메시지 읽었는지 확인하는 법
보낸 메시지 아래에 숫자(1, 2...)가 보이면 아직 안 읽은 사람 수를 의미한다. 숫자가 사라지면 모두 읽었다는 뜻이다.
실수 방지 & 자주 묻는 문제 해결 방법
처음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부모님들이 흔히 겪는 실수들이 있다.
이 실수들을 미리 알고 해결하는 방법을 익혀두면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.
- 잘못 보낸 메시지 삭제하기
메시지를 길게 누르면 ‘삭제’ 또는 ‘모두에게 삭제’라는 메뉴가 나온다.
보낸 지 5분 이내라면 ‘모두에게 삭제’를 눌러 흔적 없이 지울 수 있다. - 대화방 나가기 전 반드시 확인하기
실수로 대화방에서 나가면 메시지를 다시 받을 수 없다.
하단 ‘≡’ 버튼 → ‘나가기’는 절대 함부로 누르지 않도록 주의시켜야 한다. - 알림이 울리지 않을 때
대화방이 ‘알림 끄기’ 상태일 수 있다. 상단 종 아이콘에 X 표시가 있다면 알림이 꺼진 상태다. 다시 누르면 켜진다. - 사진이나 동영상이 안 보일 때
와이파이 또는 데이터 연결이 원활한지 확인하고, 저장 공간이 부족하지 않은지 확인해보면 된다. - 로그인이 자주 풀리는 경우
설정에서 ‘자동 로그인’ 또는 ‘기기 인증 유지’를 활성화해두면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.
유용한 추가 기능 – 영상통화, 단체방, 설정 조정까지
카카오톡에는 메시지 외에도 부모님이 자주 사용할 수 있는 실용 기능이 많다.
이 기능들을 간단히 익혀두면 소통의 폭도 훨씬 넓어지고, 스마트폰 활용도 훨씬 풍부해진다.
- 영상통화 기능
대화창 우측 상단의 카메라 아이콘(‘페이스톡’)을 누르면 영상통화를 시작할 수 있다. 손주와 얼굴 보며 이야기할 수 있어서 매우 좋아하신다. - 단체방 사용법
여러 가족 구성원과 한 방에서 대화할 수 있다. 대화창 → 우측 상단 ≡ → ‘대화상대 초대’로 진행하면 된다. - 폰트 크기 키우기
설정 → 전체 설정(톱니바퀴 아이콘) → 채팅 → 글자 크기에서 ‘크게’ 또는 ‘아주 크게’로 바꿀 수 있다. 눈이 침침한 어르신께 매우 유용하다. - 앱 아이콘 옮기기
홈 화면에서 카카오톡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드래그하면 가장 보기 좋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홈 화면 첫 번째에 두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. - 중요한 메시지 고정하기
자주 참고해야 할 메시지를 길게 누르고 ‘고정’ 기능을 누르면 대화 상단에 고정된다. 병원 주소, 계좌번호 등을 고정해두면 유용하다.
카카오톡 핵심 사용법 요약표
구분 | 기능 | 설명 |
시작 | 앱 설치 | 노란 말풍선 아이콘, 앱스토어에서 '카카오톡' 설치 |
로그인 | 전화번호 또는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| |
메시지 | 문자 보내기 | 키보드 입력 후 전송 버튼 누르기 |
이모티콘 | 웃는 얼굴 아이콘 눌러 선택 | |
사진 보내기 | 사진 아이콘 → 사진 선택 후 전송 | |
문제 해결 | 삭제 | 메시지 길게 누르고 ‘모두에게 삭제’ 선택 |
알림 켜기 | 종 아이콘에 X 있으면 꺼진 상태 → 다시 누르기 | |
자동 로그인 | 설정에서 자동 로그인 유지 설정 | |
추가 기능 | 영상통화 | 카메라 아이콘으로 ‘페이스톡’ 실행 |
폰트 크기 | 설정 → 채팅 → 글자 크기 → 크게 조정 |
'스마트폰초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님폰 자주 묻는 질문 TOP10 – 화면, 소리, 배터리 편 (0) | 2025.07.03 |
---|---|
핸드폰 어려워하는 부모님을 위한 문자 보내기 연습법 (0) | 2025.07.02 |
부모님이 자주 하는 스마트폰 실수와 해결법 (0) | 2025.07.02 |
부모님도 쉽게 배우는 유튜브 시청 팁 7가지 (0) | 2025.07.02 |
부모님 스마트폰 입문자를 위한 기본 조작 가이드 (0) | 2025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