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해력
[문해력 향상] "사고를 깊게 만드는 말들" – 개연성, 인과성, 당위, 객관
hoban1
2025. 8. 9. 22:21
① 개연성(蓋然性) [명사]
[정의]
어떤 일이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. ‘확실하진 않지만, 그럴 듯한 정도’
[예시]
- “비가 올지도 몰라”는 개연성이 있는 추측이다.
- 영화의 결말이 비현실적이면 개연성이 떨어졌다고 평가받는다.
[활용 팁]
- 독서 비평, 글쓰기 평가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준어
- 개연성과 인과성을 구분하는 훈련이 필요함
② 인과성(因果性) [명사]
[정의]
어떤 현상이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설명되는 성질
[예시]
- “그는 늦잠을 자서 지각했다”는 인과 관계이다.
- 타인의 행동을 비판할 때 인과성이 약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.
[활용 팁]
- 인과성은 논리적 사고의 핵심
- 접속어(왜냐하면, 그래서 등)를 중심으로 연습 가능
③ 당위(當爲) [명사]
[정의]
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는 도리나 규범. ‘이성적으로 옳음’
[예시]
- “법은 지켜야 한다”는 당위적 명제이다.
- 현실과 당위 사이의 갈등은 철학과 윤리의 핵심 주제다.
[활용 팁]
- ‘당위 ↔ 현실’ 구도는 논술과 철학 지문에서 자주 다뤄짐
- 주장 속에 당위가 숨어 있는지 찾아보는 연습이 필요함
④ 객관(客觀) [명사]
[정의]
개인의 감정이나 의견에서 벗어나,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기준으로 바라보는 태도
[예시]
- 뉴스는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.
- 감정에 치우치면 객관성을 잃는다.
[활용 팁]
- 객관은 ‘주관’과 비교하면서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
- 평가문항에서 ‘객관적 시선’을 요구하는 경우 많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