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스마트폰초보

부모님과 자녀의 디지털 소통 시리즈 (6) - 광고 차단

부모님 폰에 광고 없애는 법 – 불필요한 앱과 알림 차단 설정 가이드

부모님이 스마트폰을 쓰시다가 갑자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.

  • “왜 자꾸 화면에 이상한 광고가 떠?”
  • “앱을 켜지도 않았는데 자꾸 알림이 와.”
  • “내가 뭘 잘못 눌렀나?”

이런 불편함의 대부분은 불필요한 앱이나 알림, 또는 광고성 팝업과 배터리 최적화 앱 등 위장된 프로그램 때문입니다.
특히 어르신들은 자신도 모르게 광고 앱을 설치하거나, 악성 앱에 가까운 프로그램에 노출되기도 쉽습니다.

부모님 폰 광고 차단

이번 글에서는
✔️ 광고 차단을 위한 스마트폰 설정 방법,
✔️ 원치 않는 앱 삭제하는 법,
✔️ 불필요한 알림을 차단하는 구체적인 순서
✔️ 부모님이 실수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꿀팁
까지 실제로 효과 있는 방법만 모아서 정리해 드립니다.

부모님 폰에 광고가 뜨는 원인부터 알아봅시다

대표적인 광고 노출 상황

  • 앱 실행도 안 했는데 잠금 화면에 광고 팝업이 뜸
  • 카카오톡도 아닌데 쓸데없는 알림이 계속 옴
  • 홈 화면에 이상한 게임 아이콘이 생김
  • 배터리가 빨리 닳는 느낌이 듦

이 경우, 대부분 아래와 같은 문제에서 비롯됩니다:

  1. 광고 포함 무료 앱 설치
  2. 폰 관리 앱, 배터리 절약 앱 등 위장 앱
  3. 뉴스, 날씨, 테마 앱 중 광고 과다 앱
  4. 불필요한 알림이 기본 설정으로 켜져 있음

불필요한 광고 앱을 찾고 삭제하는 법

스마트폰에서 광고를 유발하는 앱은 대부분 최근 설치 앱입니다.
부모님도 모르게 설치되었거나, 이름이 이상할 수 있습니다.

📌 삭제 순서 (안드로이드 기준)

  1. 설정 앱 →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 관리
  2. 상단 정렬 방식에서 ‘최근 설치순’ 또는 ‘가장 많이 사용하지 않은 앱’ 보기
  3. 아래와 같은 이름 확인:
    • “폰 클리너”, “Battery Master”, “뉴스 속보”, “화면 꾸미기”, “게임 추천”, “Hot weather”
  4. 이름이 이상하거나 모르는 앱은 삭제 권장

주의: 시스템 앱은 삭제하지 마시고, 설명 없는 앱 위주로 확인하세요.

홈 화면 광고 팝업 차단 – ‘다른 앱 위에 표시’ 권한 제거

앱 중 일부는 다른 앱 위에 광고를 띄울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어서
부모님이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갑자기 광고가 뜹니다.

광고 팝업 차단 방법

  1. 설정 > 앱 > 특별한 접근 권한
  2. “다른 앱 위에 표시” 메뉴 선택
  3. 목록에서 앱 확인 → 광고성 앱은 OFF로 변경

예를 들어,

  • “Battery Saver”
  • “Flash Cleaner”
  • “News Lock” 등

이 권한을 OFF로 바꾸면 광고 팝업이 사라집니다.

불필요한 알림을 받지 않도록 알림 차단 설정

부모님이 가장 많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 중 하나는 계속 울리는 알림입니다.
뉴스 앱, 무료 게임, 건강 앱 등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푸시 메시지를 보냅니다.

알림 차단 방법

  1. 설정 → 알림 → 전체 앱 목록 보기
  2. 앱별로 불필요한 앱의 알림을 OFF
    • 예: 뉴스 앱, 광고 앱, 테마 앱 등
  3. 꼭 필요한 앱 (카카오톡, 전화, 문자, 카메라 등)만 알림 유지

부모님께는 “이건 중요한 알림만 오게 해놨어요”라고 안내하면 안심하십니다.

부모님이 실수로 광고 앱 설치하지 않게 막는 법

실수로 광고 앱을 설치하지 않게 하려면 기본 브라우저와 Play 스토어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좋습니다.

🔹 Play 스토어 앱 제한 설정

  1. Play 스토어 실행 → 우측 상단 프로필 아이콘
  2. 설정 → 가족 → 자녀 보호 설정 (비밀번호 필요)
  3. 앱 설치 시 등급 제한 설정
  4. 실수로 유해성 앱이 설치되지 않게 제한

🔹 웹 광고 차단 (크롬 브라우저 기준)

  1. 크롬 앱 실행 → 설정
  2. 사이트 설정 > 팝업 및 리디렉션 → 차단
  3. 광고 > 광고 차단 모드 활성화

이 설정만으로도 가짜 경고창, 광고 페이지 강제 이동 등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.

부모님께 '알려드려야 할 말투'는 이렇게 하세요

“엄마, 요즘 앱들이 너무 광고가 많아서
제가 광고 안 뜨게 조심스럽게 설정해드릴게요.”

“이건 광고 많이 보내는 앱이니 삭제할게요.”

“이 버튼만 끄면 이제 이런 알림 안 올 거예요.”

조심스러운 표현 + 결과 중심의 말투가 좋습니다.
부모님이 잘못했다는 인상을 주면 위축되시기 때문입니다.

자녀가 미리 점검해줄 체크리스트

점검 항목
최근 설치 앱 중 불필요한 것 삭제
‘다른 앱 위에 표시’ 권한 OFF
알림 설정에서 불필요한 앱 OFF
Play 스토어 자녀 보호 설정
 브라우저 팝업 차단 설정
홈 화면 정리 후 불필요한 아이콘 삭제

 

 

정기적으로 한 달에 한 번 점검해드리면 좋습니다.

실생활 사례 – “엄마폰 광고 없어져서 너무 편해졌대요”

“어느 날 엄마가 ‘폰 켤 때마다 이상한 그림이 나와’ 하시길래
앱 몇 개 삭제하고 알림만 정리해드렸는데,
다음날 전화 오셔서 ‘폰이 너무 조용하고 편해졌어’ 하시더라고요.”

“광고성 날씨 앱을 지우니까 배터리도 오래가고 화면도 깨끗해졌어요.
괜히 앱이 많다고 좋은 게 아니더라고요.”

마무리 – 부모님 스마트폰을 광고 없이 ‘편안한 기기’로 만들어주세요

스마트폰이 광고창처럼 느껴지면, 부모님은 더 이상 그 기기를 신뢰하거나 즐기지 않게 됩니다.

정리된 화면, 조용한 알림, 깔끔한 앱 구성만으로도 부모님은 다시 스마트폰을 '친구'처럼 느끼실 수 있어요.

오늘 10분만 시간을 내서 부모님 폰의 광고를 없애보세요.
그 짧은 정리가 부모님의 일상에 큰 편안함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